월요일은 휴무입니다
코로나와 진입로 공사로 주요 건물에는 출입이 금지라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행궁(行宮)이란 왕이 도성을 떠나 행행(行幸)할 때 임시로 머무는 곳으로, 전란시․능행시․휴양 등의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조선시대에는 수원행궁, 강화행궁, 전주행궁, 의주행궁, 양주행궁, 온양행궁 등 10여개 이상의 행궁이 있었다. 그 중 남한산성행궁은 전쟁이나 내란 등 유사시 후방의 지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한양 도성의 궁궐을 대신할 피난처로 사용하기 위하여 인조 3년(1625) 남한산성 수축과 함께 건립되었다. 남한산성행궁의 건립연도는 『중정남한지(重訂南漢誌)』,『인조실록』등에 나타나는데,『중정남한지』에는 1624년 9월 착공하여 1625년 4월에 건립된 것으로, 『인조실록』에는 1625년 6월 23일에 행궁을 짓도록 명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약 10년 후인 1636년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47일간(1636.12.14~1637.01.30) 항전하게 된다. 이후 숙종․영조․정조․철종․고종이 여주에 있던 효종릉(寧陵) 등의 능행길에 머물러 이용하였다. 남한산성행궁은 종묘(좌전)와 사직(우실)을 두고 있는 유일한 행궁으로 일반적인 행궁에 머물지 않고 유사시 임시수도의 중요한 역할을 하던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출처:구글 art&culuture>
남한산성행궁 발굴조사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조선시대 기와 비교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한남루
행궁의 정문에 해당하는 ‘한남루(漢南樓)’는 정조 22년(1798) 광주 유수 홍억이 행궁의 대문이 번듯하지 못함을 안타까워하며 건립한 2층의 누문이다. 19세기 후반 프랑스 영사 이폴리트 프랑뎅이 촬영한 사진에서 현판․주련․장주초석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현재 복원된 한남루의 장주초석중 정면 4개는 주변에 있던 본래의 부재를 수습하여 재사용한 것이다. 현판과 주련은 서예가 정도준 선생의 글씨를 받아,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0호 서각장 이규남 선생이 제작한 것이다.
<출처:구글 art&culuture>
'국내여행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해 한용운 기념관 (0) | 2021.04.05 |
---|---|
남한산성 수어장대 성곽을 따라 걸어요 (0) | 2021.04.05 |
성남 수진 공원 산책 길이 무척 아름다워요 (0) | 2021.04.05 |
판교 탄천에서 벚꽃 구경 (0) | 2021.04.05 |
소래포구에 다녀 왔어요 (0) | 2021.02.28 |